라벨이 재난후대처인 게시물 표시

대피 후 재입주 시 확인해야 할 구조적 위험 요소

이미지
  재난으로 인해 대피한 후, 다시 집이나 건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은 안도감을 줍니다. 그러나 “이제 괜찮다”는 판단은 신중해야 합니다. 무사히 대피했더라도, 건물 내부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가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피 후 재입주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건물 구조적 안전 요소와 재난 잔해 위험 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특히 지진, 화재, 침수, 강풍 등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고 대처할 것인지 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 외부 구조물의 육안 점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건물 외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을 눈으로 관찰하며 점검하세요. 외벽에 균열이 발생했는가 건물 기둥이나 기초 부위에 금이 가 있지는 않은가 발코니, 난간, 외부 계단이 흔들리거나 일부 파손되었는가 옥상 배수구나 천장 마감재가 벗겨졌는가 간판, 외부 전등, CCTV 등 부착물이 떨어질 위험이 있는가 육안으로만 점검하더라도 이상 징후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이상이 보인다면 즉시 전문가 점검을 요청하고 무리하게 내부로 진입하지 말아야 합니다. 2. 내부 천장과 벽면 상태 확인 건물 내부에 들어가기 전 또는 진입 직후에는 천장과 벽면 상태를 반드시 점검 해야 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은 아래와 같은 부분에 숨어 있습니다.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얼룩이 생겼는가 천장 마감재가 부풀어 오르거나 처진 곳은 없는가 벽의 타일이나 몰딩이 떨어지거나 금이 간 곳은 없는가 스위치 주변, 벽지 이음선에 곰팡이 흔적이 생겼는가 환풍기나 천장형 에어컨 주변에 물자국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는 지붕 침수, 누수, 결로, 구조물 이완 등 심각한 문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3. 바닥과 문틀, 창틀의 틀어짐 여부 확인 건물이 구조적으로 뒤틀렸다면,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창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